자격증5 컴활 2급 실기 합격 후기 원래 컴활 1급 실기를 응시하려고 1급 필기 합격 후 컴활 1급 실기를 준비했는데 1급 실기가 워낙 난이도가 헬이라(엑셀 2번 계산작업 유형 때문에) 엑세스를 공부할 시간도 없고 엑셀과 엑세스 두 과목을 동시에 준비하면 언제까지 준비해야 될지 감이 안와서 우선 컴활 2급 실기부터 합격하고 1급 실기 봐야겠다 생각 후 1급 실기를 접수해놓은 것을 2급으로 변경했습니다. (참고로 이 수기는 공부하면서 적는 것입니다. 실기 합격 후에 이전에 공부했던 과정을 적기엔 모두 세세히 기억이 나지 않기 때문에 공부하면서 그날그날 일지를 적듯 적은 글입니다. 그러니 만약 제가 실기를 합격하지 못한다면 공개되지 않을 겁니다) 컴활 2급 실기 공부 전 상태: 컴활 1급 공부 따지면 2주 정도? 공부한 방법: 독학. (인강x.. 2019. 3. 20. 워드프로세서 실기 합격 수기(독학) 워드프로세서 실기 합격 수기입니다. 공부방법: 독학 (인강x, 책과 기출문제로만 공부) 이용한 도서: 2019 시나공 워드프로세서 실기배경지식(워드 실기 공부 전 기본 베이스 상태): 컴퓨터활용능력시험 1급 필기 합격, 컴활 1급 실기 공부 경험 있음(시험 응시를 하지는 않았음), 하지만 실기 시험 응시한 적은 없음 0일차-준비(계획세우기 단계) (2019-2-17-일)워드 필기를 합격하고나서 바로 실기 시험을 접수했습니다. (2019년 2월 23일 토요일 오후) 워드 실기 책을 미리 준비해두었기 때문에 바로 공부에 들어갈 수가 있었습니다. 일단은 '2019 시나공 워드프로세서 실기' 도서의 목차를 훑어봤습니다. 구성이 1부.기본기 다지기, 2부.실천처럼 연습하기 이렇게 되어있는데, 2부 실전처럼 연습하.. 2019. 3. 8. 워드프로세서 단일등급 필기 합격 수기 공부기간: 약 5일공부 기본기: 컴퓨터활용능력시험 1급 필기 합격한 상태공부 방법: 독학(인강x, 책o, 기출o)공부한 교재: 2019 시나공 워드프로세서 필기, cbt 전자문제집(https://www.comcbt.com/)합격 커트라인: 과목당 40점 이상이며, 평균 60점 이상 합격 (참고: 대한상공회의소 자격평가사업단 http://license.korcham.net/) 워드프로세서 필기의 경우, 컴퓨터활용능력시험 1급 필기에 비해 쉬운 편으로 느껴졌습니다. 컴퓨터활용능력시험 1급에서 공부했던 과목 중 컴퓨터일반 과목도 겹치기도 했기 때문에 공부 기간이 짧더라도 부담이 되지 않았습니다. 본격적으로 공부에 들어가기 전에 약 두 달 정도 전쯤? 워드 필기 시나공 책 제 1과목과 2과목 부분을 조금 봤고 .. 2019. 2. 24. 단꿈 자격증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 해설 무료 제공 사이트 단꿈 자격증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이라면, 기출문제들을 필수적으로 풀어보셨을 텐데요.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기출문제 그리고 정답은 pdf 파일, 한글 파일로 제공하고 있지만, 상세한 해설은 제공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럼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해설은 어디서 구해야할까요? 바로 이 곳, 단꿈 자격증 이라는 사이트에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해설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무료로 제공) 단꿈 자격증이라는 곳은 한국사 강사로 유명하신 분이죠, 설민석 강사님께서 대표로 계신 기업입니다. (주)단꿈교육은 (주)태건에듀 를 모태로 만들어진 기업입니다. 현재 단꿈 공무원 사이트와 단꿈 자격증 사이트 두 곳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 중, 단꿈 자격증 사이트는 2017년 7월에 오픈한 자격증 관련.. 2017. 9. 20. mooc 사이트 모음 (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 사이트 모음 (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 란?: Massive Open Online Course 의 약자. 수강 인원에 제한 없이(Massive), 모든 사람이 수강 가능하며(Open), 웹 기반으로(Online) 미리 정의된 학습목표를 위해 구성된 강좌(Course)를 의미.비디오나 유인물, 문제집이 보충 자료가 되는 기존의 수업들과는 달리, 무크(mooc)는 인터넷 토론 게시판을 중심으로 학생과 교수, 그리고 조교들 사이의 커뮤니티를 만들어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1.Coursera(코세라)https://www.coursera.org/ 2.edx(에덱스)https://www.edx.org/ 3.Udemy(유데미)https://www.udemy.com.. 2017. 2. 4. 이전 1 다음